} '좋아요'는 어떻게 지구를 파괴하는가-디지털 산업의 환경오염 :: 지식의 비밀정원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좋아요'는 어떻게 지구를 파괴하는가-디지털 산업의 환경오염
    Book Review 2024. 1. 12. 11:09
    728x90
    반응형

     

    '좋아요'는 어떻게 지구를 파괴하는가 - 책 내용

    제목부터 끌렸다. 우리가 단순히 누르는 '좋아요'가 지구를 파괴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우리가 일상에서 당연시 여기는 SNS의 '좋아요'가 어떤 과정을 거쳐 다른 이들에게 전달되는지를 추적하면서 디지털 세계를 이루는 거대한 인프라를 탐험하고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지정학이라 불리는 개념을 소개하며, 디지털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환경문제에 대한 관련성을 강조한다. 책에서는 내가 '좋아요'를 누르게 되면 '좋아요'를 받는 사람의 휴대폰에 도달하기까지 인터넷의 일곱 개 층을 거치게 된다고 한다. 가장 꼭대기 층에 도달하기 위해 중간층들 속을 파내려 가며 가장 첫 번째 층, 해저케이블로 이루어진 층에 닿는다. 즉, 꼭대기 층과 바닥 층 사이에서 '좋아요'는 이동통신 사업자나 4G 안테나를 거려 공유기를 따라가다 인도표면에서 80센티미터 아래 묻혀있는 구리관에 닿게 되고, 그다음 대규모 이동경로를 따라가며 여러 곳에 쌓여있던 다른 '좋아요'들과 합류한다. 여기서 모인 '좋아요'는 바다를 가로질러 다른 데이터센터로 운반되고 그 여정을 거쳐 내가 누른 '좋아요'가 상대방의 휴대폰에 도달하게 된다. 바로 옆에 있는 동료나 친구의 게시물에 '좋아요'를 눌렀을 뿐인데 이 '좋아요'는 수천 킬로미터를 여행하는 것이다. 전혀 생각해 보지 못했던 부분인데 책에서 읽고 나서 굉장히 신선한 충격이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의 환경 친화성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며 전자 문서의 사용이 종이 절약에 도움이 된다고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데이터 저장과 관리를 위해 전력과 자원이 소모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제조에 사용되는 금속들의 채굴과 처리로 인한 문제점도 이야기하고 있다. 이 내용은 책 뒤의 부록에서도 자세히 나와있는데 1960년대에는 전화기 제조에 사용되는 원자재 수가 10가지에 지나지 않았는데 2021년에는 우리가 사용하는 휴대폰에 들어가는 원자재는 54가지가 된다고 한다. 알루미늄, 철 등은 물론이고 지르코늄, 팔라듐, 이트륨, 텔루륨등 발음하기도 어려운 이런 원자재들이 이렇게 많이 들어간다니.... 그리고 우리는 또 이런 휴대폰을 사용하기에 전혀 문제가 없어도 신제품이 나오거나 때가 되면 생각 없이 바꾸게 되니 이것이야 말로 환경오염이 아닐까 싶다.

     

     

     

    디지털 산업의 환경오염

    우리가 편리하다고, 더 빠르다고 좋아했던 디지털 시대의 온라인상의 모든 활동들이 환경과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놀라웠다. 책에서는 구글을 통하지 않고 웹사이트를 접속해도 전기를 아낄 수 있다고 한다.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 한번 할 때마다 전구를 1~2분 켜놓을 때만큼의 전력이 소비된다니.... 우리가 보는 동영상이나 영화도 화질을 고화질이 아닌 저화질로 본다면 에너지 소비가 4~10 내 줄어든다고 한다. 만약 7000만 명의 네티즌이 화질을 낮춰 동영상을 감상한다면 매달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350만 톤 줄일 수 있는데 이 양은 미국 선탄 생산량의 6터센트에 해당한다고 한다. 사실, 고화질은 포기할 수 없겠지만 다운로드할 때나 무의미 없이 인터넷 서핑이나 피드를 보는 일들은 조금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책의 뒷부분 부록에서는 그동안 우리가 인지하지 못했던 내용들을 보기 쉽게 표나 자료를 통해 이해를 돕고 있다.

     

     

    책의 마지막이 모든 것을 설명해 주고 있는 것 같았다.

    여러분 자신이 이 세계에서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변화가 되십시오.

     

    디지털 시대에 우리가 원하는 환경은 무엇일까? 내가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이제 이 책을 읽고 실천할 때인 것 같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